TCP :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연결 지향 방식이다.
** 연결지향방식-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 경로를 배정한다는 것
더보기
TCP는 패킷을 어떻게 추적하고 관리하나?
A,B,C라는 패킷에 1,2,3이라는 번호를 부여하여 패킷의 분실확인 처리를 하여 목적지에서 재조립한다.
이런 방식으로 패킷을 추적하여, 나누어보내고 데이터를 조립할 수 있다.
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신뢰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3-way handshaking의 과정을 사용하며 목적지와 수신지를 확실히 한다.
이러한 기능들 때문에 UDP보다 속도가 느리다.
=> TCP는 연속성보다 신뢰성있는 전송이 중요할때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UDP: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비연결형 서비스이기때문에 연결을 설정하고 패킷을 조립,해제하는 과정이 없다.
TCP보다 과정이 적기 때문에 더 빠르며 네트워크 부하가 적지만, 신뢰성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보장하지 못한다.
=> UDP 연속성이 중요한 서비스 ex) streaming 서비스에서 사용한다.
'CS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3way handshake (0) | 2023.04.17 |
---|---|
cookie MaxAge, Expire 옵션 (0) | 2023.04.04 |
useRef는 어디에 쓰이나 (0) | 2023.04.04 |
HTTP -> Ajax -> Websocket (0) | 2023.04.01 |
position은 어떻게 사용할까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