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삽질하며 얻은 지식🔥

(8)
three.js npm 설치하기 내가 해놓고 잊지 않기 위해서 기록함 사실 여러 문서들을 보고 설치한거라 약간 짬뽕 식으로 되었는데 맞는지 아닌지 불확실하다. 기존에는 가장 편하게 모든 파일을 다 내려받는 다운로드식으로 설치를했다. 그러다보니 뭔가 파일도 너무 많고 정리도 안되는 느낌이라 싹 정리하고 필요한것만 가지고 있고 싶어서 npm 으로 설치하는 방법으로 바꾸어보았다. **깃허브로 전체 다운로드를 하려면 https://github.com/mrdoob/three.js 여기서 참고! 깃클론을 해서 가져오면 되는 형식이다. 사실 전체를 다 받으니 이렇게 많았다..;; 이런걸 줄이기 위해서 npm으로 설치를 함 1.우선 파일을 하나 만들고 터미널을 연다. 2.npm install --save three 입력 3.그럼 node module..
배포하기 어제 프로젝트 배포하면서 다른 분들이 많이 도와주셨다. 아주 감사했다ㅎ 그래서 나도 까먹지않기 위해서 기록을 해야겠다. Glitch로 json-server 배포하기 https://github.com/jesperorb/json-server-heroku GitHub - jesperorb/json-server-heroku: Deploy json-server to Heroku & Glitch & Azure Deploy json-server to Heroku & Glitch & Azure :up: :free: - GitHub - jesperorb/json-server-heroku: Deploy json-server to Heroku & Glitch & Azure github.com 여기 들어가서 Use this ..
node_module 패키지 만들기 1.상황 제이슨서버로 로그인하는 환경을 연습해보고 싶어서 JWT를 이용해보기로 마음먹음 그럼 환경이 client ,server 이 두가지가 필요하다. 괜찮은 예제가 없어서 그냥 내가 만들기로 함👍 그래서 하나의 create react-app으로 통해 만든 파일에서 server라는 파일을 하나 새로 만들기로 했다. 2.과정 server라는 파일을 만들고나서 서버처럼 작동을 위해서 node_module파일이 필요했다. **Node.js로 만들어진 모듈을 설치하고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 처음에 혼자서 npm init을 했더니 이런 문구가 떴다. 뭐지 하고 npm install을 하라는건가? 끄라는건가? 하고 여러번 재시도 그러다가 안되서 구글링을 했다. 보니까 저기까지는 나오는게 정상 그리고나서 엔터를 치면 p..
JSON.parse from stackoveflow let response ='{"result":true , "count":1}' reponse에서 result와 count 값을 어떻게 가지고 올까? 🔥 JSON.parse const response = '{ "result": "true", "count": 1 }'; const obj = JSON.parse(response); console.log(obj.result, obj.count); typescript 공부중에 "Uncaught TypeError: Cannot use 'in' operator to search for 'length' in " 이라는 오류가 떠서 분명 난 in이라는 연산자를 쓴적이 없는데 무슨 일인가 하고 찾아보고 있었다. 그러다가 json.parse까..
파이어베이스 오류 FirebaseError: Missing or insufficient permissions. 파이어베이스의 Cloud Firestore의 규칙에 들어가서 allow read , write : if false -->true로 바꿔준다. 그럼 끝🔥 (이거 깜빡하고 또 시간 날렸다가 많고많은 오류 메세지 중에 저거 발견하고 구글링하던중 찾았음)
타이틀을 누르면 상세페이지.... 말그대로 타이틀을 누르면 상세페이지로 간다. 상세페이지를 들어가면 타이틀이 제목으로 있고 그에 해당하는 내용이 들어가있어야한다. 이렇게 간단한거 왜 안될까...지금 3시간째 붙잡고 있는데 안된다...이 새벽에... 분명 내가 놓치고 있는게 있다.... 일단 글을 작성하면 글목록에 올라오게까지하는것은 성공🍀했다. 1.그럼 무엇이 문제인가? 글목록에 올라온 글을 누르면 상세페이지로 넘어가는데 상세페이지에 글의 타이틀을 못가지고 온다.😱🔥 2.시도🏁 먼저 route에 그 글목록의 주소를 글의 고유 id로 주고 이 id와 내가 누른 글의 id가 일치하면 그 글의 title,content를 들고와라를 시도했다.그래서 삼항 연산자로 store에 넣어놓은 state를 불러서 const {id}=useParams() ..
깃헙으로 작업을 시작할땐 TIL(40) 24일 크리스마스 이브이지만 프로젝트를 위해 휴일도 반납하고 코드를 치고 있는 팀원분들과 나... 좋은건가...?ㅋㅋㅋㅋ 암튼 담주 월요일 까지를 다 완성으로 목표를 잡아놔서 오늘 중간 점검 겸 한번 각자 작업을 합쳐보기로 했다. 말안해도 비디오.. 충돌이 많이 났다. 1. 내가 만난 문제..? 충돌..?☄️ 너무 기본 파일에서 부터 각자 브랜치를 만들었다. 이게 헤더라던가 푸터,라우터,폴더는 공통으로 들어가니까 이걸 만들어놓고 여기서 브랜치를 만들어서 각자 작업을 시작했어야 됬다. 근데 그러기엔 너무 늦었다. 각자 또 공통적인 부분을 만들면서 여기서 충돌이 날 확률이 뻔했다. 2.어떤 시도❓ 뒤늦게라도 알았으니까 dev브랜치를 새로 만들어서 거기서 한명씩 합쳤다. 내가 깃 담당을 하게 되어서 내가 만든..
근자감에 의해서 2시간을 날림 리덕스 강의를 거진 3~4번을 돌려보니까 강의 없이 혼자서 카운터 정도는 충분히 만들겠는데? 라는 근자감에 의해서 여기까지 왔다. 근데 확실한건 삽질하니까 삽질한 부분은 확실히 알겠다.....ㅇㅇ 그래서 아예 그냥 카테고리 만들어서 기록해볼까 한다 약간 코너속의 코너느낌으로다가 과정을 적기 보다 그냥 문제가 있었던 부분을 나눠서 다뤄볼까한다. 내 목표는 그냥 카운터 만들기였다. 그냥 버튼 +1 ,-1 누르면 숫자가 올라가고 빼지고 하는거 그게 다다. 첨엔 왠지 사용자의 입력값까지 받아서 만드는것도 후딱 할껏만 같았다. 근데 지금 쓰는 이시간에 겨우 +1 -1버튼 기능구현을 했다. 막 시간이 아깝고 이런건 절때 아니고 진심은 이렇게라도 삽질해서 다 만들어냈다는게 기분이 좋다. //configStore.j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