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실시간 강의는 cs기초였다
살면서 처음 배웠는데 진짜 외계어였다...ㅎㅋㅋㅋㅋㅋ근데 나름 새로운 얘기여서 재밌었달까...?!😗
오늘도 까먹기 전에 기록하려고 빨리 쓰는 중이다.
물론 오늘 이렇게적은 것 중에 내가 잘못 이해해서 기록하는 것도 있을 것 같긴한대
차츰 공부하면서 수정해나가면 되니까 일단 기록한다....!
- 싱글코어 -> 멀티코어가 됬을까?
- CPU의 생김새
- CPU와 프로그래머와의 소통 방법
1.싱글코어 ➡️ 멀티코어
①cpu:여러개의 register
cpu는 코어라는 것을 가지고 있는데 대략 구조가 이렇게 생겼다.
그럼 다시 돌아가서 왜 멀티코어로 바뀌었을까? 발열
하나의 코어 성능을 올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니 잠깐 멈추고 multiple하게 하자!
=> 그래서 멀티의 state을 가지면서 멀티 코어가 되었다고한다.
2.CPU 생김새
1.CU
: 프로그램 연산 실행을 한다. (cpu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함)
하는 일은 정말 간략하게
fetch(일을 처리해달라고 오면 가지고 오면) > 해석 > ALU에 패스
2.ALS
:해석한 코드로 연산한 것을 가지고 메모리에 전달을 한다.
3.register
: 아까 위해서 본 것이고
1) 범용(general-purpose) :작은 데이터의 임시 저장 공간으로, 연산 처리 및 데이터의 주소를 지정하는 역할
2) 특수용(special - purpose) :명령어를 실행할 때 필요한 범용 데이터가 아닌 특수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레지스터
>특수용에는 프로그램 카운터라는 것이 있는데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처리가 다 된것들을 기록저장하는 일을 한다.
👇👇
4.cache
: CPU가 여러번 접근 중 일때 거리가 멀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빈번하게 쓰이거나 가장 최근의 사용을 캐시공간에 모아 놓는다 (=캐싱)
3.프로그래머와 소통 방법
이 내용은 아주 간략하게 적을 예정... 더 공부를 해야 할 것 같다 애매해서리...ㅎ
일단 CPU(컴퓨터)는 0101110001과 같은 이러한 기계어로 소통을 할 수 있는데 사람은 그 기계어를 쓸 수 없으니까
프로그래밍 언어를 쓴다( 우리가 코딩을 하듯이)
이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파일러(=통역)을 통해서 우리가 적은 것을 기계어로 해석을 해서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약간 컴퓨터계의 파파고 느낌
더 많은 내용을 설명해주시고 그 순간순간은 이해하고 넘어갔지만 다시 정리하려니까 연결이 부드럽지가 못하다 ㅠㅠ
이부분은 내가 CS공부를 해가면서 고쳐나가야 할 것 같고 그렇지만 잘 몰랐던부분을 이렇게 알 수 있어서 유익했다.
(강의 시간이 짧게 진행되서 튜터님도 간략하게 설명하시느라 힘드셨을듯...ㅎ)
막 ISA에 CISC,RISC 등등 많았는데 여기서도 RISC가 더 효율적이고 명령어가 더 적다고만 이해를 했다.
명령어 수행의 진행도 알려주셨는데..OTL
어쨋든 이제 이 공부도 시작이니까 열심히 하자...! 나에겐 구글신이 있으니까?ㅋㅋ
오늘의 TIL끝😎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써보자 TIL(12) (0) | 2022.11.15 |
---|---|
TIL(11) (0) | 2022.11.14 |
유익한 시간💪💪TIL(09) (0) | 2022.11.10 |
보자보자 어디보자..TIL(08) (0) | 2022.11.09 |
python....알고리즘....TIL(07) (0) | 2022.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