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공부를 하다가 보게 된 메서드들
선형시간이니 뭐니 하는데 일단 기본을 알아야지라는 생각에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기억하기로 함..❗
1.Shift()
: 배열에서 첫 번째 요소를 제거하고, 제거된 요소를 반환한다.=> 배열의 길이를 변하게 함
const person=["kim",27,170];
const firstElement = person.shift();
console.log(person); //Array[27,170]
console.log(firstElement); "kim"
👇shift()로 배열의 앞 부분에 추가를 할 수 있다.
내가 알고 있던 push() 와 pop()은 배열의 끝자리에 추가와 삭제를 하는 기능이라면
이 메소드는 앞부분 추가다
이렇게 되면 배열의 index가 달라지기 때문에 배열의 길이가 변하게 되면서 컴퓨터 처리상 시간이 더 걸릴 것이다.
2.Unshift()
:새로운 엘리먼트를 배열의 맨 앞쪽에 추가하고, 길이가 변함
const person=["kim",27,170];
const firstElement = person.unshift("developer");
console.log(person); // Array["developer","kim",27,170]
👇shift와 반대로 추가하는 기능이다.
이것 또한 index의 순번의 변화시키므로 컴퓨터 처리 상 시간이 더 걸릴것이다.
이 정도로만 간단하게 정리!😎
나는 자꾸 저 단어들이 반대로 생각이 되네ㅎㅋㅋㅋ
3.splice()
: 기존의 배열에 새로운 요소들 추가,삭제,교체를 가능하게 해주는 메서드
const months = ['Jan', 'March', 'April', 'June'];
months.splice(1, 0, 'Feb');
// inserts at index 1
console.log(months);
// expected output: Array ["Jan", "Feb", "March", "April", "June"]
months.splice(4, 1, 'May');
// replaces 1 element at index 4
console.log(months);
// expected output: Array ["Jan", "Feb", "March", "April", "May"]
#####################
(!MDN에서 가져온 자료)
👇
array.splice(몇 번째 인덱스,교체 할 갯수, '교체할 내용')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ter,setter (0) | 2023.05.10 |
---|---|
전개 연산자 (0) | 2022.11.11 |
javascript(class) (0) | 2022.10.22 |
javascript(constructor) (0) | 2022.10.20 |
javascript 공부(this)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