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this
var kim={
name : 'kim',
first :10,
second :20,
sum:function(){
return kim.first + kim.second}
}
console.log(kim.sum());
만약 이런 코드가 있다면,콘솔창에는 30이라는 답이 나온다.
그러나 이렇게 적을 경우 유연함이 떨어진다.
▶var의 이름이 바뀔 경우, return에 있는 객체이름과 console을 부를때 있는 객체 이름 등 바꿔야 할 것들이 많아진다.
그래서 나온 것이 this
객체 안에 메소드가 있을 때 그 안에서 객체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즉, 나는! 이라는 뜻
var kim={
name : 'kim',
first :10,
second :20,
sum:function(){
return this.first + this.second}
}
console.log(kim.sum());
this를 통해서 객체 스스로를 칭할수 있게 됨!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ift() & unshift() & Splice() (0) | 2022.11.13 |
---|---|
전개 연산자 (0) | 2022.11.11 |
javascript(class) (0) | 2022.10.22 |
javascript(constructor) (0) | 2022.10.20 |
javascript 객체(기본구조)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