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 GitHub & sourceTree

Git🤔

1.깃이 관리하는 공간은 3개이다.

①작업디렉토리:git(버전관리의 대상)이 있는 공간을 작업 디렉토리라고 한다.(소스들을 넣어놓을 수 있는 공간)

   =>.git이라고 적혀있는 파일이 있는 파일을 말한다.

 

 ②스테이지

  : 다음 버전이 될 후보가 올라가는 공간

 

 ③저장소(repository)

  :버전이 만들어지고 관리되는 공간

 

▶2,3번은 깃이 관리하는 가상의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배운 것을 토대로 그렸을 때

2.버전 만들어보기

소스트리를 사용해서 .git이 있는 작업디렉토리(blog이름을 가진)를 만들었다.

 

작고 소중한 파일

안에 a라는 텍스트파일을 만들었다. (나중에는 이 텍스트파일이 js,html..등이 될 수 있다)

 

이 안에 내가 내용물을 적거나 파일들을 저장하면 작업 디렉터리에 버전관리할대상이 추가가 되는 것과 같다.

 

 

 

👇그리고 소스 트리를 확인하면 내가 만들어 놓은 파일이 스테이지에 올라가기 전 구역에 나와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스테이지에 올리기 위해서 +버튼을 누르던가 스테이지 올리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스테이지에 올라간게 보인다.


이렇게 하고나서 커밋을 할때는 밑에 보면 있는 메세지 공간에 커밋메세지를 작성해야한다.(버전에 대한 설명,메모)
 나중에 버전을 봤을 때 딱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ㅎ

  + 커밋 메세지는 맨위에는 제목을 적을 수 있고 한칸 띄우고나서 내용을 여러줄 적을 수 있다.
   (본문생략가능)

커밋을 하고 나면  올라가있는것을 적은 메세지와 함께 확인이 가능하다.😎

3.내용 추가해보고 다시 커밋해보기✅

▷a파일에 "A"를 추가해놓고 저장하면 새롭게 스테이지를 기다리는 파일이 생성되고

   옆에 보면 무엇이 추가가 되었는지 초록색으로 보여준다.

    (빨간색은 삭제된것을 뜻한다.)

'Git & GitHub & sourceT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1)  (0) 2022.11.06
브랜치란?(1)  (0) 2022.11.02
브랜치 실습 때리자(2)  (0) 2022.11.02
Git(2)✍️  (0) 2022.11.02
깃 처음 시작하기  (0) 202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