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커밋을 더 잘알아보기 위해서
(1)커밋해쉬
: 각 버전을 지칭하는 고유한 정보를 커밋해쉬라고한다.
ex) 커밋: b4bf40e2dff4a825a69aacfc890cf62244d6efbf [b4bf40e] =>이렇게 다 각자 가지고 있다.
[ ] 은 긴 커밋넘버를 줄여서 나타낸다.
(2)태그
:특정 커밋을 좀 더 가독성 좋게 지칭하는 것을 나타낸다.(꼬리표❗)
=> ✅커밋해쉬가 있는데 왜 태그를 쓰는가?
좀 더 유의미한 분기점을 알기 위해서 , 가독성을 더 올리기 위해
여러개의 커밋들 중에 특정 커밋이 더 유의미할때 지칭하기 위해서 꼬리표를 사용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2-1)태그 만들기
: 특정 커밋줄에 Rt마우스 누르고 태그 누르고 제목 지정하고 만들어주면 끝
(2-2)태그 삭제하는 법
: 태그 목록(왼쪽에 위치함)에서 Rt마우스 누르고 삭제하면 끝
2.버전관리하기
(1) 특정 커밋끼리 비교하기
:ctrl누르고 특정 커밋 눌러주면 밑에 목록이 뜨면서 비교가 가능하다.
(2)특정 버전을 그전 당시 상태로 열어보기
:특정 커밋을 누르고 밑에 뜨는 목록에 Rt마우스 누르고 '선택한 버전 열기' 누르면 그 당시의 내용이 나온다.
2.버전되돌리기🟧
1)revert
: 버전을 되돌린 새로운 버전 만들기
ex)100번째 버전을 만들었는데 99번째가 마음에 들어서 99번째와 똑같은 101번째의 버전을 만드는 것
2)reset
: 버전을 완전히 되돌리기
-soft : 커밋만을 리셋
-mixed : 스테이지 추가 까지 리셋
-hard : 변경사항을 생성한 사실까지 리셋
👉Revert
가장 최근의 커밋에 Rt마우스를 누르면
'커밋 되돌리기'를 누르면
'a파일에 A를 추가함' 내용으로 다음 커밋이
생성된다.
👉Reset(soft)
soft로 되돌리면 파일상태에
최근파일~reset파일 사이에 있었던 일(파일추가,내용추가)들이 스테이지에만 올라가있음
저걸 누르면 단계를 선택할 수 있게 창이 나온다.
▷a파일생성까지 되돌리면 최근커밋까지 만들어둔 내용물 A,B,C가 커밋만 취소가 된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3.작업 임시저장하기
✅임시저장이 왜 필요할까?
:만약 내가 이때까지 어떠한 파일을 변경해왔는데 갑자기 수정하지말고 달라고 했을 때 내가 이때까지 했던
변경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ㅎ
위에 위치한 스태시 버튼 누르고 제목 지정하면됨(굉장히 쉬움)
The stash desc is invalid. Ref names must follow git ref-format rules:
=>처음에 이런게 떠서 구글링해보니까 그냥 버그라고 다시 해보라길래 다시하니까 됨;;(괜히 긴장ㅋㅋ)

3-1.작업 임시저장한거 다시 가져오기
스태시 목록에서 RT마우스 누르고 저장하면 '파일상태'목록에 다시 올라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오늘 리액트에 대해서 조작하는 법같은 기본적인 것을 공부했는데 혼자했던거 보다 강의 보고 따라 실습해보는게
훨 이해도 빠르고 좋다...ㅎ 진작에 이렇게 들을껄 싶은 생각도든다..😊강의를 잘하셔서 그런거일수도ㅋㅋ
앞으로 깃을 배운만큼 활용할 수 있을 생각에 두근두근이다.
나도 이제 만드는 과정을 올릴 수 있다
'Git & GitHub & sourceT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1) (0) | 2022.11.06 |
---|---|
브랜치란?(1) (0) | 2022.11.02 |
브랜치 실습 때리자(2) (0) | 2022.11.02 |
Git🤔 (0) | 2022.11.02 |
깃 처음 시작하기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