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깃허브란? : 개발자들의 SNS ( https://github.com/프로필이름/프로젝트(저장소)이름)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83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원격저장소: 깃허브에 있는 respository가 원격저장소임
※간단히 내가 몰랐던 거👇
:이 프로젝트와 관련된 문제들을 제보하거나 앞으로 개발해야할 것들을 명시함
:프로젝트가 있을 때 페이지를 밑에 내려보면 위치하고 ,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을 얘기한다.
(이미지나 기여도 등을 적혀있다_저장소의 설명서같은 느낌)
▷원격저장소를 왜 사용할까?🤔
①백업 : 파일이 삭제 될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②협업 : 공통적인 기본 코드에 추가나 삭제를 각자 할 수 있다.
2.깃허브와 소스트리 연동하기
1)SSH: 깃허브와 내 컴퓨터가 안전하게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방법 (한번만 설정해주면 계속 사용 가능)
▶두 개의 키(=암호)가 필요하다 (공개키,암호키)
2)깃허브에게 공개키 주기
ssh-keygen //키 생성 명령어
키 생성 후 독특하게 생긴 그림같은것이 나오면 잘 생성이 된것이다.
/c/Users/~~~/id_rsa : 이렇게 생긴 경로가 키가 있는 주소이다.
+뒤에 .pub라고 붙어있는 게 공개키이다.( 이 키를 깃허브에게 주어야함)
그리고 명령어로 파일을 열어본다.
cat: 파일을 열어보는 명령어 ex)cat 공개키주소👆
이렇게 실행 했을 때 나오는 문자열과 숫자들이 공개키이고 이것을 깃허브에게 주면된다.
3.깃허브에게 주기✅
① github페이지 > settings > SSH and GPG keys > New SSH key버튼
*참고로 깃허브에는 여러개의 키를 등록할 수 있다.(컴퓨터가 여러개일수도 있으니까)
② 버튼을 누르고 제목과 아까 뜬 공개키 문자열을 복사해서 붙여넣어주고 소스트리로 넘어온다.
③소스트리에 도구 > 옵션 선택 후
=>이렇게 까지 해주면 소스트리에서 알아서 주소가 변경이 됨, 연동이 다 끝나간다
4.소스트리에서 깃허브를 연동하기
remote> 계정추가 > github로 바꿔주고 ssh로 바꿔주고 토큰 누른다음에 나오는 페이지 권한접근 확인해주고
다시 소스트리 페이지 돌아오면 인증완료가 뜸
끝😎
사실 급하게 배운 깃허브를 너무 유용하게 잘 쓰고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많이해서 잊어먹을까봐 쫌 자세히 적었다.ㅎㅎ
'Git & GitHub & sourceT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2) (0) | 2022.11.06 |
---|---|
브랜치란?(1) (0) | 2022.11.02 |
브랜치 실습 때리자(2) (0) | 2022.11.02 |
Git(2)✍️ (0) | 2022.11.02 |
Git🤔 (0) | 2022.11.02 |